이미지 확대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북특별자치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주=연합뉴스) 임채두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자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을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외국인 유학생이나 근로자를 인구 감소 지역으로 유도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정책이다.
지역특화형 비자 유형은 ▲ 지역특화 우수 인재(F-2-R) ▲ 지역특화 숙련기능인력(E-7-4R) ▲ 숙련기능인력(E-7-4) ▲ 지역특화 외국국적동포(F-4-R) 등 4가지다.
올해부터 도내 기업은 지역특화 우수 인재 비자를 소지한 외국인을 기업당 기존 최대 20명에서 50명까지 고용할 수 있게 된다.
취업 제한 업종 규정도 사라져 다양한 분야에서 외국인 인재를 채용할 수 있다.
도내에 2년 이상 체류한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특화 숙련기능인력 비자는 고창, 무주, 진안 등 도내 11개 인구감소지역과 인구감소관심지역(익산)에서 올해 처음으로 시행된다.
이 비자를 활용하면 단순 노무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도 장기간 국내에 정착할 기회를 얻게 된다.
숙련기능인력 비자 취득 요건도 한국어능력시험 3급에서 4급으로 완화됐다.
이러한 외국인 정착 유도 정책을 지방소멸 대응 전략으로 삼으면 도내 인구 감소와 노동력 부족 문제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백경태 도 대외국제소통국장은 "외국인 정착 및 지원 정책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외국인과 지역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길을 지속해서 찾겠다"고 말했다.
do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03/10 10:24 송고
출처 ; 2025년03월10일 10시24분 송고전북도, '지역특화형 비자' 확대…외국인 고용 인력·분야 늘려 | 연합뉴스